본문 바로가기
농업 공부/재배학 이론

재배학원론 - 1장 재배개설(2)

by 해랑lee 2022. 10. 20.
반응형

재배개설2

1-3 작물의 기원과 전파

1-3-1 작물의 기원

인류가 정주생활을 시작하고 식물의 생활환에 개입하여 그 일부를 관리하게 되면서 재배가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생육기간의 일부분이나 생육장소를 관리하는 정도의 반재배의 형태가 장기간 지속되다가 차츰 본격적인 재배가 정착된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까지도 아프리카 등지에서는 반재배적인 관리형태가 잔존하고 있다. 식물은 인간의 관리에 적응하는 방향으로 순화 • 진화하여 재배형의 종, 즉 작물이 발달하였다.
작물의 야생형 식물을 그 작물의 야생종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잡초인 강아지풀은 조의 야생종 이고 돌콩(새콩; Glycine sgya)은 콩의 야생종이다.

1-3-2 식물의 진화와 작물로서의 특징 획득

식물은 자연교잡과 돌연변이 때문에 자연적으로 유전적 변이가 발생한다. 새로운 유전형 중에서 환경이나 생존경쟁 에 견디지 못하는 것은 도태되고 견디는 것은 적응하게 된다. 적응한 것들이 오래 생육하게 되면 그 생태조건에 좀 더 잘 적응하게 되는데, 이를 순화라고 한다.
적응된 유전형들이 안정상태를 유지하려면 적응형 상호간에 유전적 교섭 이 생기지 않아야 하는데, 이를 격리 또는 고립 이라고 한다.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서 상호간 유전적 교섭이 방지되는 것을 지리적 격리( geographical isolation)라 하고 개화기의 차이, 교잡불임 등의 생리적 원인에 의하여 같은 장소에 있으면서도 유전적 교섭이 방지되는 것을 생리적 격리(physiological isolation)라고 한다.
작물은 인간의 관리 하에서 야생종과 다른 특징을 지니게 된다. 야생식물 의 경우 종자가 결실한 후의 환경은 생존에 부적합한 겨울철이므로 휴면성이 강한 것이 보통이며, 휴면의 정도는 종자마다 다르다. 따라서 적온 • 적습 조건이 되어도 종자의 일부만이 발아하고 대부분은 휴면을 장기간 지속 하므로 환경에 대응하고 종족을 보존한다.
그러나 작물은 수확 즉시 저장하고 이듬해 봄에 파종할 때에는 일제히 발아해야 하므로 강한 휴면성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작물은 발아억제물질이 감소하거나 소실되는 방향으로 발달되었다. 수확시에는 모든 종자가 일시에 성숙되는 것이 좋음으로 분얼이나 분지가 일정 기간 내에 일시에 발생하고 개화기는 일시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성숙시 종자의 탈립성은 작은 방향으로 발달하였고, 수량은 많은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1-3-3 작물의 기원지

한 식물이 최초로 발생된 지역을 그 식물의 기원지라고 한다. 식물의 기원지를 알아내는 방법은 근연 야생종의 분포와 품종의 다양성으로부터 찾는 식물지리학적 방법, 탄소연대측정 등 식물 유체의 분석을 포함하는 고고학적 방법, 세포유전학적 방법, 유전자 분석법, DNA 염기서열분석 등 생화학적 및 생물학적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된다. 여기에 언어학적 및 민속학적 자료가 보완적 증거로 이용된다.
식물의 지리적 기원을 탐구하는 데 큰 업적을 남긴 사람은 De Candolle 과 Vavilov 이다. De Candolle 은 작물 야생종의 분포를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유물•유적•전설 등에 나타난 사실을 기초로 고고학•역사학 및 언어학적 고찰을 통하여 재배식물의 조상형이 자생하는 지역을 기원지로 추정하였다. 1883년에는 유명한 ‘재배식물의 기원'을 저술하였다.
Vavilov는 세계 각지에서 수집한 재배식물과 그 근연종들의 유전적 변이를 조사하고 식물의 지리적 미분법을 적용하여 유전적 변이가 가장 많은 지역을 그 작물의 기원중심지라고 하였다.

재배식물의 기원지는 1차 중심지와 2차 중심지로 구분할 수 있다. 1차 중심지에는 그 식물종의 변이가 가장 풍부하고, 다른 지방에 없는 변이도 보이며, 우성형질이 많고 원시적 형질을 가진 식물종도 많다. vavilov의 연구 결과는 식물종의 유전자중심설(gene center theory)로 정리되었다.
Vavilov 는 작물의 기원지를 ①중국, ②인도 • 동남아시아, ③중앙아시아, ⓸코카서스 • 중동, ⑤지중해 연안, ⑥중앙아프리카, ⑦멕시코 • 중앙아메리카,。남아메리카의 8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현재 에도 많은 학자들의 지지를 받고 있다.

기원지별 주요 작물은 다음과 같다.
1) 중국지역 : 6조보리 • 조• 피 • 메밀• 콩• 팔• 파• 인삼• 배추• 자운영 , 동양 배• 감•복숭아등
2) 인도• 동남아시아 지역 : 벼 • 참깨 • 사탕수수• 모시풀• 왕골. 오이 . 박• 가 지• 생강 등
3) 중앙아시아지역 : 귀리 • 기장• 완두• 삼• 당근• 양파• 무화과 등
4) 코카서스• 중동지역 : 2조보리 • 보통밀• 호밀 • 유채(油菜, 평지) • 아마• 마 늘•시금치•사과•서양배•포도 등
5) 지중해 연안지역 : 완두•유채•사당무•양귀비•화이트클로버•티머시. 오처드그래스•무•순무•우엉•양배추•상추 등
6) 중앙아프리카지역: 진주조• 수수• 강두(광저기)• 수박. 참외 등
7) 멕시코• 중앙아메리카지역: 옥수수• 강낭콩• 고구마. 해바라기 . 호박 등
8) 남아메리카지역: 감자• 땅콩• 담배• 토마토• 고추 등

 

 

 

 

 

 

1-4 작물의 분류

1-4-1 작물의 종류와 수

지구상에 현존하는 약 235,000종의 식물 중에서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는 작물의 총수는 2,200 여 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식용작물은 888종이 알려져 있는데 채소나 과실류 등 원에작물을 별도로 하면 식량작물은 약 169종이다.

1-4-2 작물의 분류

일반식물의 분류는 볏과식물• 콩과식물 • 배추과식물 • 국화과식물 • 가지과식물 등 식물학적 분류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작물은 일반적으로 식물학적 분류법보다 이용성 • 경제성 • 재배성 등을 중심으로 분류한다.

(1) 용도에 따른 분류

1) 식용작물

a. 곡숙류
ⅰ. 화곡류
- 미곡 : 쌀 등
- 맥류 : 보리 • 밀 • 귀리 • 호밀 등
- 잡곡 : 조 • 피 • 기장 • 수수 • 옥수수 • 메밀 등
ⅱ. 두류 : 콩 • 팥 • 녹두 • 강낭콩 • 완두 • 땅콩 등
b. 서류 : 고구마 • 감자 등

2)공예작물

a. 전분작물 : 옥수수 • 고구마 • 감자 등
b. 유료작물 : 참깨 • 들깨 • 아주까리 • 유채 • 해바라기 • 땅콩 • 콩 • 아마 .목화 등
C. 섬유작물 : 목화, 삼, 모시풀, 아마, 어저귀, 왕골, 수세미, 닥나무, 고리버들 등
d. 당료작물 : 사탕무, 사탕수수 등

3) 약용작물 : 제충국, 박하, 호프 등
4) 기호작물 : 차, 담배 등
5) 사료작물

a. 볏과 : 옥수수, 호밀, 오처드그래스, 티머시, 라이그래스 등
b. 콩과 : 앨팰퍼, 화이트클로버, 레드클로버 등
c. 기타 : 사료용 호박, 순무, 해바라기, 돼지감자 등

6) 녹비작물

a. 볏과 : 호밀 등
b. 콩과 : 자운영, 베치 등

7) 원예작물

a.채소
ⅰ. 과채류 : 오이 • 호박 • 고주 • 토마도 • 딸기 • 수박 • 가지 등
ⅱ.협채류 : 완두 • 강낭콩 등
ⅲ. 근채류
- 괴근류 : 고구마 • 감자 • 도란 • 마 • 생강 등
- 직근류 : 무 • 순무 • 당근 • 우엉 등
ⅳ. 경엽채류 : 배추, 양배추, 갓, 상추, 셀러리, 파슬리, 미나리, 쑥갓, 머위, 시금치, 아스파라거스, 파, 양파, 쪽파, 마늘 등

b. 과수
ⅰ 인과류 : 배 • 사과 • 비파 등
ⅱ. 핵과류 : 복숭아 • 자두 • 살구 • 앵두 • 양앵두 등
ⅲ. 장과류 : 포도 • 딸기 • 무화과 등
ⅳ. 견과류 : 밤 • 호두 등
v. 준인과류 : 감 • 귤 등
c. 화훼류 또는 관상식물
ⅰ. 초본류 : 장미 • 국화 • 코스모스 • 달리아 • 난초 등
ⅱ. 목본류 : 철쭉 • 동백 • 고무나무 등

(2) 생태적 분류

① 생존연한에 따른 분류

벼 • 콩 • 옥수수 등과 같이 봄에 파종하여 그해 안에 성숙하는 작물을 1 년생 작물이라 하고 가을보리 • 가을밀 등과 같이 가을에 파종하여 그 다음해 초여름에 성숙하는 작물을 월년생 작물 이라고 한다. 무 • 사탕무 등과 같이 봄에 파종하여 그 다음해에 성숙하는 작물을 2 년생 작물 이라고 한다. 호프, 아스파라거스 • 영년목초류 등과 같이 생존연한과 경제적 이용연한이 여러 해인 작물을 다년생 작물이라고 한다.

② 생육계절에 따른 분류

봄에 파종하여 여름을 중심으로 생육하는 1년생 작물을 여름작물, 가을에 파종하여 가을. 겨울. 봄을 중심으로 생육하는 월년생 작물을 겨울작물이라고 한다.

③ 생육적온에 따른 분류

맥류 • 감자 등과 같이 비교적 저온에서 생육이 양호한 작물을 저온작물이라 하고 벼 • 옥수수처럼 비교적 고온에서 생육이 양호한 작문을 고온작물이라고 한다.
고무나무 • 카사바 등과 갈이 열대환경에서 자라는 작물을 열대작물 이라고 한다.
티머시 • 앨팰퍼 등과 같이 서늘한 환경에서 생육이 양호하고 여름철의 고온기에는 생육이 정지되거나 말라죽는 하고현상을 보이는 목초를 한지형 목초라고 한다. 버뮤다그래스 등과 같이 따뜻한 지방. 고온기에 생육이 양호하고 추위에 약한 목초를 난지형 목초라고 한다.

④ 생육형에 따른 분류

벼 •맥류 등과 같이 식물체가 포기를 형성하는 작물을 주형작물이라 하고 고구마처럼 줄기가 땅을 기어 지표를 덮는 작물을 포복형작물이라고 한다. 목초는 오처드그래스•티머시처럼 줄기가 균일하게 곧게 자라는 것을 직립형이라 하고 화이트 클로버처럼 줄기가 땅을 기어 지표를 덮는 것을 포복형이라고 한다. 채초에는 직립형이나 상번초가 알맞고 방목에는 포복형이나 하번초가 알맞다.

⑤ 저항성에 따른 분류

저온에 잘 견디는 작물을 내냉성 작물. 산성토양에 강한 작물을 내산성 작물. 가뭄에 강한 작물을 내건성작물. 과습에 강한 작물은 내습성 작물. 염분이 많은 토양에 강한 작물을 내염성 작물이라고 한다.

(3) 재배 이용에 따른 분류

① 작부방식에 관련된 분류

벼처럼 논에서 재배되는 작물을 논작물, 콩 •옥수수 등과 같이 밭에서 재
배되는 것을 밭작물이라고 한다. 전후작(前後作)이나 사이짓기, 즉 간작은 할 때에는 먼저 심어 수확하는 앞작물과 뒤에 심는 뒷작물이 구별된다. 콩에 수수를 섞어짓거나 옥수수와 콩을 엇갈아 짓는 교호작(交互作)등 한 포장에 두 작문을 동시에 재배할 때에는 경제적 비중에 따라 주작물(主作物)과 부작물(副作物)로 구분한다.

옥수수•수수 등을 재배하면 잡초가 크게 경감되므로 중경작물(中耕作物 cultivated crop)이라고 한다. 작부체계에서 휴한하는 대신 클로버와 같은 콩과식물을 재배하면
지력이 좋아지는데, 이를 휴한작물(休閑作物 fallow cap)이라고 한다. 중경작물이나
휴한작물처럼 작부체계에 필요한 작물을 윤작작물(輪作作物 rotation crop)이라고 한다. 서로 도움이 되는 특성을 지닌 두 가지 작물을 같이 재배할 경우 이 두 작물은 동반작물(同伴作物 companion crop)이라고 한다. 가뭄이 심해서 벼를 못 심고 대신 메밀 등을 파종하여 재배할 때 이를 대파작물(代播作物: substitute crop)이라고 한다. 조 •피 •기장 •메밀 •고구마 •감자 등은 기후가 불순한 흉년에도 비교적 안전한 수확을 얻을 수 있는데, 이를 구황작물(救荒作物: emergency crop)이라고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