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38

재배학 3장 재배환경 - 토양(7) : 토양반응과 산성토양, 개간지 사구지 3-2-8 토양반응과 산성토양 (1)토양반응의 표시법 토양의 반응은 토양용액 중의 수소이온농도, 즉 [H+]와 수산이온농도, 즉 [OH_]의 비율에 따라 결정되며, 보통 pH로 반응표시를 한다. 물은 적으나마 H+과 OH- 으로 해리한다. 순수한 물이 해리 할 때 [H+]와 [OH-]는 같으며, 이들 이온농도는 모두 10-7mol/l 이고, 이 상태가 중성(中性)이다. 양자의 적(積)은 22°C 에서 일정하고, 한쪽이 감소하면 다른 쪽이 증대하여 언제나 [H+][OH-]=10-4 이다. 중성인 경우는 1L의 물속에 H+과 OH-이 각각 10-7g 당량을 함유한다. 표시를 간편화하기 위하여 [H+] 의 역수의 대수치를 취한 것이 pH (potential of hydrogen ion)이다. pH 는 1~14.. 2022. 11. 2.
재배학 3장 재배환경 - 토양(6) : 토양공기 3-2-7 토양공기 (1) 토양의 용기량 토양공기의 용적은 전 공극용적에서 토양수분의 용적을 감한 것인데, 토양 중에서 공기로 차 있는 공극량을 토양의 용기량(air capacity)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모관공극에는 수분이 차 있고, 비모관공극에는 공기가 차 있으므로, 용기량은 비모관공극량과 비슷하다. 따라서, 토양의 전 공극량이 증대하더라도 비모관공극량이 증대하지 않으면 용기량은 증대하지 않는다. 또한, 토양수분 함량이 최대용수량에 달했을 때의 용기량을 최소용 기량(最小容氣量; minimum air capacity)이라 하고, 풍건상태의 용기량을 최대용기량(maximum air capacity)이라고 한다. 토양의 용기량은 보통 토양의 용적에 대한 공기로 차 있는 공극용적의 비율로 표시한다. 토양의.. 2022. 11. 1.
재배학 3장 재배환경 - 토양(5) : 토양수분 3-2-6 토양수분 토양수분은 작물의 생육에 불가결한 요소이다. 여기에서는 토양수분의 기본적 사항만을 기술한다. (1) 토양수분함량의 표시법 토양 또는 식물체 내의 수분상태를 수분퍼텐설(water potential, 이라고 한다. 토양 중에는 수분퍼덴셜이 높고 낮은 지점이 산재하여 수분의 공간분포에 편차가 존재하고, 물은 이 편차에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토양수분이식물에 흡수되어 증산작용을 통하여 대기로 나가는 과정은 수분퍼텐셜의 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능하다고 본다. 토양수분의 함량을 건토(乾土)에 대한 수분의 함량비로 표시하면 토양의 절대수분함량이 표시된다. 그러나 이것은 작물의 흡수력과 직결된 표시가 되지 못하므로, 직결된 척도로 표시할 때에는 보통 토양수분장력(soil moisture tens.. 2022. 11. 1.
재배학 3장 재배환경 - 토양(4) : 토양유기물 3-2-5 토양유기물 토양 중의 유기물은 지력을 배양하는 데 극히 중요하다. (1) 토양유기물의 기능 토양 중의 유기물, 즉 동물과 식물의 잔재(殘洋)는 미생물작용이나 화학작용을 받아서 분해된다. 분해작용을 받아서 유기물의 원형을 잃은 암갈색 ~ 혹색의 부분을 특별히 부식(humus)이라고 한다. 그러나 토양유기물전체를 부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토양 유기물(土壤有機物)의. ① 암석의 분해 촉진 유기물이 분해될 때 여러 가지 산(酸)을 생성하여 암석의 분해를 촉진한다. ② 양분의 공금 유기물이 분해되어 질소, 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다량원소와 망간, 붕소, 구리, 아연 등의 미량원소를 공급한다. ③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공급 유기물이 분해될 때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작물 주변 대기 중의 이산화.. 2022. 11. 1.
재배학 3장 재배환경 - 토양(3) : 토양 무기성분 3-2-4 토양 중의 무기성분 토양 중에는 각종 무기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작물생육의 영양원이 된다. 따라서 그 함량을 알맞게 할 필요가 있다. (1) 필수원소 작물의 생육에 필요 불가결한 원소를 필수 원소(必J頁元素;(必J頁元素 essential nutrientdements)라고 하는데, 다음의 16 원소를 가리킨다. 즉, 탄소(C), 산소(O), 수소(H), 질소(N), 인(P), 칼륨(K), 칼슘(Ca), 마그네슘(Mg), 황(S), 철 (Fe), 망간(Mn), 구리 (Cu), 아연 (Zn), 붕소(B), 몰리브덴 (Mo) 및 염소(Cl) 이다. 이 중에서 탄소 산소 수소는 이산화탄소(C02)와 물(H20)에서 공급되고, 나머지는 토양성분 중에서 공급되는데, 탄소 산소 및 수소의 3원소를 제외한 3원.. 2022. 10. 31.
재배학 3장 재배환경 - 토양(2) : 토양구조 및 토층 3-2-3 토양구조 및 토층 (1) 토양구조 토양을 구성하는 입자들이 모여 있는 상태를 토양구조(soilstructure)라고 한다. 토양구조는 경토(耕土), 미경토, 하층토 등에 따라 복잡한 상태를 나타내는데, 작물의 생육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경토의 주된 토양구조는 다음과 같다. ①단립구조 단립구조(單f嫌造; single-grained structure)는 비교적 큰 입자가 무구조(無構造; amorphous)인 단일상태로 집합되어 있는 구조로서, 해안의 사구지에서 볼 수 있다. 대공극이 많고 소공극이 적으며, 토양통기와 투수성은 좋으나, 수분과 비료분을 지니는 힘은 작다. ② 이상구조 이상구조(泥造; puddled structure)는 미세한 토양입자가 무구조, 단일상태로 집합된 구조이나, 건조하면 각.. 2022. 10. 31.
재배학 3장 재배환경 - 토양(1) : 지력 ~ 토성 3-2-1 지력 토양조건은 작물의 생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적인 종합적 조건은 작물의 생산력을 지배하는데, 이를 지력(地力)이라고 한다. 또한, 주로 물리화학적인 지력조건을 토양비옥도(soil fertility)라고 하기도 한다. 지력을 높이려면 토양조건을 다음과 같이 유도해야 한다. (1) 토성 토성은 양토(壤土)를 중심으로 하여 사양토(FM土)~식양토(堪壤土)의 범위가 토양의 수분, 공기, 비료성분 등의 종합적 조건에서 알맞다. 사토(砂土, 모래흙)는 토양수분과 비료성분이 부족하고, 식토C植土)는 토양공기가 부족하다. (2)토양구조 토양구조는 입단(粒團)이 조성될수록 토양의 수분과 공기상태가 좋아진다. (3)토층 토층은 작토(作土)가 깊고 양호하며, 심토(心土)도 투.. 2022. 10. 31.
재배학 - 2장 작물의 유전성(8) : 기타 육종 2-4-5 1대잡종육종 (1) 1대잡종품종의 이점 ① 품종간 교배 1대잡종품종의 육성은 자연수분품종 간 교배 또는 자식계통( inbred line : 동형접합체 또는 같은 유전자형으로부터 유래한 계통)간 교배를 하거나, 여러 개의 자식계통으로 합성품종을 만든다. 자연수분품종끼리 교배한 1대잡종품종은 자식계통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생산성은 낮으나, F1 종자의 채종이 유리하고 환경스트레스에 적응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이 방법은 자가불화합성으로 자식이 곤란하거나 과수처럼 세대가 길어 자식계통의 육성이 어려운 경우에 주로 이용된다. ② 자식계통간 교배 1대잡종품종의 잡종강세는 이형접합성이 높을 때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동형접합체인 자식계통을 육성하여 교배친으로 사용한다. 자식계통 육성은 우량개체를 선발하.. 2022. 10. 30.
재배학 - 2장 작물의 유전성(7) : 타식성, 영양번식 작물육종 2-4-3 타식성 작물의 육종 (1) 타식성 작물 집단의 유전적 특성 타식성 작물은 타가수분을 하므로 대부분 이형접합체이다. 이러한 타식성작물을 인위적으로 자식시키거나 근친교배(SM交配; inbreeding)를 하면 작물체의 생육이 불량해지고 생산성이 떨어지는데, 이를 근교약세(近交弱勢; inbreeding depression) 또는 자식약세(自殖弱勢)라고 한다. 근교(자식) 약세의 원인은 자식이나 근친교배에 의하여 이형접합체가 동형접합체로 되고, 이형접합체의 열성유전자가 분리되기 때문이다. 한편, 타식성 작물의 근친교배로 약세화한 작물체 또는 빈약한 자식계통끼리 교배하면 그 F1 은 양친보다 왕성한 생육을 나타내는데, 이를 잡종강세(hybrid vigor, heterosis)라고 한다. 잡종강세는 근교.. 2022. 10. 30.
재배학 - 2장 작물의 유전성(6) : 자식성 작물육종 2-4-1 육종과정 작물육종은 목표형질에 대한 유전변이를 만들고, 우량한 유전자형을 선발하여 신품종으로 육성하며, 이를 증식,보급하는 과학기술이다. 육종과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친다. 육종목표 설정 -> 육종재료 및 육종방법 결정 -> 변이작성 -> 우량계통 육성 -> 생산성 검정 -> 지역적응성 검정 -> 신품종 결정 및 등록 -> 종자증식 -> 신품종 보급 육종목표를 설정할 때에는 기존 품종이 지닌 결점의 보완,농업인과 소비자의 요구, 미래의 수요 등에 부합하는 형질의 특성을 구체적으로 정한다. 육종목표가 정해지면 그에 적합한 육종재료를 선정 하고 육종방법을 결정하는데, 이 단계에서는 대상작물의 생식방법과 목표형질의 유전양식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변이작성은 자연변이를 이용하거나, 인공교배, 돌연.. 2022. 10. 30.